식용수질 정화용 녹색 맥반석 맥스톤!

    회원가입 로그인

쇼핑몰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제품소개

고객센터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작용

맥스톤 맥반석 효능

자료실

한방상식

맥스톤 맥반석 소개 동영상

 

 

   

맥스톤 맥반석 한방상식



맥스톤 맥반석 한방상식


맥스톤 맥반석 한방상식

한약(韓藥)이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의학이론에 의하여 투여되는 물질들을 말한다.

한약의 재료가 되는 것들은 대부분이 동물, 식물 및 광물 등의 천연물로서, 이들을 ‘한약물’ 또는 ‘한약재’라고 하여 ‘한약’과 구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식용하는 쌀, 돼지고기, 소고기 등의 음식물은 음식으로 사용될 때에는 ‘한약’이라고 하지는 않지만, 이들도 ‘한약재’ 중의 하나에 속한다.

이처럼 ‘한약’과 ‘한약재’는 구별되지만, 때로는 ‘한약’에 한약재의 의미를 포함시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 약 6,000여종의 물질들이 한약재로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500여종이 상용되고 있다.

이들 중 약 85%이상이 식물이며 나머지 동물과 광물로 구성된다.

이처럼 한약재는 대부분이 식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초본이나 목본식물이기 때문에 나무뿌리에서 상형된 ‘본(本)’자와 풀에서 상형된 ‘초(草)’를 사용하여 ‘본초(本草)’라고 하였다.
‘본초’라는 단어는 한약재의 의미 외에 <신수본초(新修本草) 나 증류본초(證類本草) 등 전통적인 본초서적들을 칭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한약재(本草)의 기원, 화학적 또는 물리학적 성상 및 감정, 채취와 가공과정, 효능과 임상응용, 기타의 용도로의 응용 등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을 본초학(本草學)이라고 한다.

본초학은 그 범위가 넓어서 식물성 약물에 대하여 연구하는 약용식물학, 동물성 식물에 대한 약용동물학, 그리고 광물성약물에 대한 약용광물학 등을 포괄할 뿐 아니라, 감별과 감정에 대하여 연구하는 한약감정학, 약용식물재배학, 약물의 보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한약보관학, 한약응용의 기초이론에 대하여 연구하는 한약약성론 등은 모두 넓은 의미의 본초학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관학문들이 모두 본초학에 포함되어 있으나 현재 주로 한의과대학에서 강의하는 본초학은 약물의 효능과 작용기전 및 임상응용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본초학의 이론체계는 물론 한의학의 기본이론체계를 바탕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본초학이란 사실 한의학에서의 약리학, 다시 말하여 ‘한약약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약 2천여년 전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으로부터 문헌에 기록되면서 발전되어 온 본초학은 중국의 당, 송, 금, 원, 명, 청대를 이어오면서 이론과 약물수 및 약물응용범위의 발전을 이루었다.
근대에 들어오면서 서양의 자연과학과 의학의 영향으로 한약재 중의 성분이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성분에 대한 연구학문인 한약성분학과 한약재의 서양의학적인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분야인 한약약리학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미 이야기한 것처럼 본초학은 이미 한약약리학이라고 정의되지만 이를 한의학원리에 의한 이론전개에만 국한시키고, 한약재 또는 그 구성성분들의 약리작용에 대한 분야는 한약약리학(Herbal Pharmacology)으로 구별한다.
한약약리학은 서양약리학적 방법으로 人體에 대한 한약물의 여러 효능과 그 작용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학문에서는 韓醫理論과 더불어 현대의 자연과학으로 연구된 한약물에 대한 성과를 연구하고, 학생들이 개별 약물이 가진 藥理학적 개념을 이해하며, 기초적인 韓藥藥理의 연구방법과 실험조작을 익히고, 한의학의 발전을 위하여 이들 내용들에 대한 연구, 정리 및 발전을 통하여 韓藥學에 대한 연구자료를 더욱 넓히고자 하는 것이 본 학문의 기본목표이다.

韓藥藥理學의 연구목적은 약물을 사용하여 한약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원리에 대한 자연과학적인 지식과 치료효과가 있는 물질적인 기초에 대하여 이해하고, 또한 한약물의 수치효과와 복방의 배합시의 변화되는 각종 藥理作用을 연구하는데 있다. 韓藥藥理學은 韓藥學의 범주에 속하는 중요한 분야이다. 그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연구를 통하여 韓藥의 작용기전과 효능 및 효력을 밝혀 한의학이론을 검증하는데 이용한다.
둘째, 한약이론과 현대 자연과학의 연구성과를 결합시켜 한약학의 발전에 도움을 가져온다.
셋째, 한약물 중 유효성분을 분리하고 추출함과 아울러 약리실험을 통하여 한약의 배오응용, 제형의 개변, 치료효과 제고, 독성감소 등를 연구하는데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실험약리학의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약용가치가 있는 한약물을 개발하고, 기원을 더욱 넓히며, 기존 약물들의 새로운 효능을 개발할 수 있다.

1. 한약의 발전사와 자연과학적인 연구성과
<1 韓藥의 發展史와 本草學의 주요 著作
韓藥의 생산과 발전은 사람들이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는 과정에서 생기고 발전된 것이다.

최초의 약물학의 전문서는 《神農本草經》으로, 여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자연 속에서 생존하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약물에 대한 지식이 결집되어 있다.
그 내용 속에는 麻黃의 천식치료, 常山의 학질에 대한 치료작용, ?實의 驅蟲作用 및 大黃의 瀉下作用 등 대다수가 현재에 과학적으로 인정된 사실들이 수록되어 있다.

인류사회의 발전에 따라 민간약물의 응용도 나날이 광범위해지게 되었다. 漢, 晉시대에는 華?, 李歸之, 吳普 등이 약물학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서기 6세기 초 梁나라 때의 陶弘景은 당시에 유행하던 《名醫別錄》과 《本草經》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本草經集註》를 편찬하였다.
여기에는 약물 730종이 수록되어 있어 약물 품종이 이전에 비하여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玉石, 草, 木, 蟲獸, 果菜, 米? 등의 자연적인 기원에 의하여 분류하므로써 本草學에 있어 약물의 자연분류법의 효시가 되었다.

이 방법은 후세의 本草書, 예를 들어 《證類本草》, 《本草綱目》등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이 책 중에는 諸病通用藥에 대한 내용은 없지만 辨證用藥에 대해서는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약물의 채취시기, 저장, 보관, 진위감별, 포제방법, 製藥규범 등에 대한 설명이 일관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본초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서기 7세기에는 本草學 著作이 약 30여종이 저술되었는데, 체계와 내용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중복되어 있고, 證治와 解說 역시 일관되지 않아서 정리하여야 할 부분이 많았다.

그러므로, 唐나라 때 蘇敬, 李勣 등 20여人이 《新修本草》를 편찬하여 약물 884종을 수록하고 전국 각지의 약재표본그림을 수집하여 서기 659년에 반포하였는데 《唐本草》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국가가 반포한 최초의 藥典이며 《紐倫藥典》에 비하여 877년 빠른 것으로, 세계 최초의 藥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책이 국내외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北宋시대에는 고대의서들을 정리하여 다시 발간하는 사업이 활발하여 우선 《開寶詳定本草》와 開寶重定本草》가 편찬되었다.
또 嘉祐年間에 掌禹錫이 《嘉祐補注本草》를 주편하였고, 蘇頌은 《本草圖經》을 편찬하였다.

그리고 唐愼微는 이 두권의 책을 근거로 하고 기타 醫方類書를 참고하여 綜合藥物學書인 《經史證類備急本草》를 편찬하였는데, 이는 이후의 歷代醫家들이 중요시하는 본초서이다.
이 책은 宋시대를 전후하여 여러 차례 국가에서 수정하여 《經史證類大觀本草》, 《政和新修經史證類備用本草》등을 출판하였는데, 후세에 두 책을 통칭하여 《證類本草》라 한다.

이는 宋이전의 본초학의 성과를 집대성한 本草書로서 많은 古代名著들의 精華가 유지되어 있으며 초기 문헌들의 내용을 그대로 보존하여 《本草綱目》이 출판되기 이전에 널리 사용되었던 대형 本草書이며 本草學을 연구하는데 주요 참고도서이기도 하다.

또한 이 책은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본초교과서로도 사용되어 허준선생의 《東醫寶鑑》에도 자주 인용되었던 책이다.
이 책에 인용된 古代醫書는 전해지지 않고 다만 이 책의 본문에서 그 개요가 규명되어 있으므로 실용적인 가치가 클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문헌사적 의의를 가진다.

明나라 때의 劉文泰등은 王命을 받아 《本草品?精要》를 편찬하였는데, 그 내용이 간단명료하고 정확하다.

이는 《新修本草》에 이어서 국가에서 편찬한 두번째 本草書이다. 그 뒤 李時珍이 《證類本草》이후 500년간 출판된 여러 종의 本草學 著作들을 읽고 여기에 수록된 많은 실용약물에 대하여 기존의 效能主治와 새로운 효능 외에 약물채취, 감정, 제조 및 用藥에 대한 본인의 누적된 경험을 추가하고, 《證類本草》로 根幹으로 본초서를 저술하였다.

이 때 역사적으로 가치있는 百家의 서적 약 800종을 참고하고, 실지조사연구를 통하여 眞僞를 감별하므로써 《本草綱目》52권을 편찬하였다.
이 책은 16部, 62類로 되어 있고 1892種의 藥物, 藥圖1120幅을 수록하였는데, 1590년에 金陵에서 처음으로 인쇄되었다.

이는 중국의 16세기 이전의 本草學의 성과를 총괄한 책으로, 출판후 300여년에 걸쳐 수차 편찬되었으며, 영국, 일본, 독일, 프랑스, 러시아 등에 변역본이 출판되므로써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本草綱目》이 출판된 이후 淸代의 학자들은 이 책의 기초 위에서 여러 시각에서 관찰하여 本草學 著作을 편찬하였다.
예를 들면 增補하고 오류를 교정한 《本草綱目拾遺》, 간단히 요약한 《本草綱目摘要》,《本草匯纂》, 그리고 임상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소책자로 만든 《本草備要》, 《本草從新》등이 있다.
이 시대에 특별히 가치있다고 여겨지는 책으로 吳其濬의《植物名實圖考》가 있는데 실물에 근거하여 약물의 그림을 매우 정밀하게 그려서 古代 本草圖解의 오류들을 수정하였고, “長編”부분에서는 歷代 本草書와 여러 기타 서적 중의 유관한 기록을 수록하므로써 큰 참고 가치를 가지고 있어 국내외의 학자들이 중시한 책이다.

공산당수립후 중국정부는 中醫學발전에 대해 관심을 두어 中醫정책을 반포하였으며 中醫藥 연구기구를 설립하고 中醫藥院校를 개편하였다.
이처럼 中醫사업의 왕성한 발전에 따라 中藥의 자원조사, 품종감정, 화학과 약리연구, 임상관찰등 대량의 자료가 누적되었다.

중앙위생부에서 《中華人民共和國藥典》을 편찬, 반포하여 中藥의 規格, 效能, 主治, 劑量, 用法, 質量 등을 명확히 규정하였다.
그리고 많은 한약학 관련서적, 예를 들면 《中藥學》, 《中藥鑑定學》, 《中藥化學》, 《中藥藥理學》, 《臨床中藥學》등 여러 분야의 책들이 출판되었다.

또한 종합약물서, 예를 들어 《中藥志》, 《全國中草藥?編》, 《中藥大辭典》 등을 출판하므로써 한약연구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古代 本草文獻들을 수록하므로써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게 하였다.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이란?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의 유래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의 실체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의 기능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의 용도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제품 현황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의 실용신안권 현황

맥스톤 맥반석

맥반석의 특허권 현황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작용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효능

맥스톤 맥반석

자료실

맥스톤 맥반석

검증자료

맥스톤 맥반석

미네랄

맥스톤 맥반석

원적외선

맥스톤 맥반석

음이온

맥스톤 맥반석

공기정화

맥스톤 맥반석

중금속제거

맥스톤 맥반석

항취제

맥스톤 맥반석

한방상식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소개 동영상

맥스톤 맥반석

무한지대 큐 - KBS 2TV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주먹돌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파우더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맥반석 황금캡슐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티백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정수용 소재

맥스톤 맥반석

맥스톤 매직 파우더

맥스톤 맥반석

덴플러스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에스크로

개인정보보안